수면/불면증

성인 애착 유형과 불면증

아미나우 2022. 5. 12. 17:30

애착유형은 유아기 때부터 부모님과의 관계에서 형성되는 성격의 형성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인데 이것은 성격과 감정에 영향을 미쳐 불면증에도 큰 영향을 줄 수 있는데 이번에는 이러한 심리적인 현상과 불면증이 어떤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애착이론과 심리

Photo by Sylwia Bartyzel on Unsplash

볼비의 애착이론에서 애착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는데 이는 자신에게 중요한 사람에 대한 정서적인 유대감을 뜻하며 에인스워드 등의 연구자들은 어머니와 낯선 사람에 대한 영유아의 반응을 관찰해 사람에 대한 애착 반응을 분류하였고 이후 벨로뮤와 홀로위츠는 최초의 애착 모형을 제시하여 자기와 타인을 기초로 애착의 4가지 모형을 수립하였으며 이 모형에 따르면 정형적인 애착 유형은 자기상과 타인상이 모두 긍정적인 경우가 많고 거부형 애착 유형은 자기상은 긍정 적이나 타인상이 부정적이며 의존형애착 유 형은 타인상은 긍정적이나 자기상이 부정적이며 두려움형 애착 유형은 자기상과 타인상이 모두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애착 유형은 영유아기뿐 아니라 다 자란 성인에게도 큰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애착은 성인의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서 발생하는 스트레스의 대처방식이나 우울증과 같은 정신장애에도 영향을 준다고 알려져 있어서 안정적인 애착 유형에서 대인관계와 스트레스 대처 방식이 건강한 것이 신경장애가 적다고 하며 또한 다른 행동과 같은 정신생리현상들도 애착 유형과 관계가 있다고 알려져있으며 특히 수면도 대표적인 정신생리 현상이므로 잠을 잘 자는 것도 애착 유형의 영향을 받을 수 있는데 수면과 애착 모두 스트레스나 정신신경장애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할 수 있으며 수면과 애착 형성은 모두 영유아기에서 집중적으로 발달하는 생물학적 발달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데 렘수면이 애착을 증진하고 유지하 는데 필요한 생물학적 기전을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므로 렘수면과 애착 유형이 관련이 있다는 주장도 있으며 소아에서 애착 유형과 어떤 것을 배우는 능력의 관계가 수면 장애에 의해 결정된다는 연구도 있어 또한 우울증 환자들도 어렸을 때 형성된 애착 유형과 수면과의 관계가 어떤지에 대해서 보고한 연구도 있다.

불면증 유무에 따른 애착유형 비교

한가지 종류 이상의 불면증이 있는 군은 불면증이 없는 그룹에 비해 두려움을 가지는 애착 점수가 높았으며 다른 애착 점수에는 각 그룹간의 차이가 없었고 연령과 성별을 제한한 경우에도 불면증이 있는 단체은 불면증이 없는 단체에 비해 두려움적인 특징을 가진 애착 점수가 높았으며 초기 불면증이 있는 군은 초기 불면증이 없는 군에 비해 두려움을 가진 애착 점수가 높았고 다른 애착 점수에는 각 그룹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초창기 불면증이 있는 경우 거부를 하는 애착 유형 점수가 높은 경향성은 있었지만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고 초기에 발생하는 불면증은 남성보다는 여성에서 자주 발병하였지만 연령과 성별을 통제한 환경에에는 거부하는 타입의 애착 유형은 각 그룹간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은 거이 확인 되었고 오히려 의존형 애착 점수에 차이가 있었으며 연령과 성별을 통제했을 때 두려움형 애착 점수에 대해서는 두 모인간에 학술적으로 차이가 나는 경향을 보여주었는 것이 학인 되었고 불면증이 없는 그룹에 비해 거부형 애착 점수와 두려움을 느끼는 애착 점수가 높았다고 할 수 있고 다른 애착 점수에는 각 집단간 차이가 없었으며 중간적 불면증은 여성에서 자주 발생했고 중기 불면증이 있는 경우 낮 동안의 행동적인 장애도 심한 것으로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으나 입면장애 불면증은 고령에서 흔한 경향이 있었고 연령이나 성별을 통제한 후에는 두려움형 애착 점수에는 다양한 그룹간의 차이가 확인되었으나 거부하는 타입의 애착 점수의 차이는 더 이상 학술적으로 의미가 있지 않은 것을 확인하였다.

애착유형에 따른 일과성 불면증

만성적인 불면증과 일시적인 불면증의 차이를 표시하였는데 일시적으로 발생하는 불면증에 비해 만성 불면증이 있는 경우 의존형 애착 점수가 많이 높은 것을 확인 하였고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으나 일시적인 불면증에 비해 만성 불면증이 있는 경우 두려움형 애착 점수도 높은 점수가 확인 되었고 연령과 성별을 통제한 경우에도 일시적인 불면증에 비해 만성적 불면증이 있는 경우 의존하는 애착형태가 유의미하게 높았다고 할 수 있어 불면증이 없는 그룹의 일시적인 불면증만 있는 그룹의 경우 만성적인 불면증이 있는 그룹간의 애착 유형 비교도 시행을 하였는데 3개의 그룹 간 비교에서 의존형 애착 점수와 두려움을 가지는 애착 점수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이후 분석에서 만성적인 불면증이 있는 군은 불면증이 없는 그룹이나 일시적 불면증만이 있는 그룹에 비해 의존적인 애착 점수가 높아진 것이 확인되었으며 만성적인 불면증이 있는 그룹과 일시적인 불면증만이 있는 그룹 역시 불면증이 없는 집단에 비해 두려움형 애착 점수가 높았다.

결론

연구를 실시한 결과 불면증과 특정적인 애착 유형과의 관련성이 높은 것을 볼 수 있었으며 불면증이 있는 그룹에서는 불면증이 없는 집단 비해 두려움을 가지는 애착 정도가 높았다고 할 수 있는데 통계를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었지만 불면증과 두려움형 애착의 관계는 초기나 중후기의 불면증 모두에서 나타났으며 두려움형 애착은 불면증의 빈도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확인이 되었는데 의존형 애착은 불면증의 만성화되는 것과 관련이 있었으며 거부를 하는 애착 관계는 여성의 경우에만 관련이 있는 것으로 확인이 되었는데 불면증이 있는 성인과 불면증이 없는 성인의 애착 유형에는 차이가 있다는 것을 확인한 이번 연구의 결과에서는 특히 두려운 애착 유형의 경우 수면장애와의 관련성 이 매우 높았으며 두려움형 애착 유형은 모든 형태의 입면장애과 관련이 있었으며 중간에 깨는 빈도나 만성화와의 관계도 확인되었으며 이는 두려움형 애착 유형이 입면장애의 발생과 악화 모두에 관련이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전술한 바와 같이 두려움 애착 유형을 가진 사람들은 자신과 타인에게 부정적인 시각을 가지고 이러한 시각이나 인지 구조가 이렇게 다양한 영역에서 나타나는 대표적인 경우가 있는데 바로 신경장애나 우울장애 같은 정신과적 질환을 들 수 있다고 할 수 있는데 이러한 정신과적 질환에서는 불면증이 매우 흔하게 발생해서 주요 우울장애나 범불안장애의 공식 진단기준에는 수면장애가 포함되어 있기도 하며 따라서 두려움형 애착 유형과 불면증 사이의 밀접한 관련성은 우울과 불안과 같은 심리상태 혹은 우울증과 불안장애 같은 정신과적 질환에 의해서 전달될 가능성이 높고 의존적인 애착 유형은 주로 불면증의 빈도가 증가하거나 만성화되는 것과 관련성이 있었고 더불어서 불면증있는지 여부와의 관련은 미약한 것으로 확인이 되어서 연령과 성별을 통제한 경우에만 일부 수면장애와 관련이 있었으며 더불어서 두려움을 느끼는 애착형태와는 달리 의존형 애착은 일시적으로 혹은 일시적 불면증에서는 증가하지 않았다.

이번에는 심리적인 현상과 불면증이 어떤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았는데요 이런 심리적인 현상은 스트레스과 각성도에도 영향을 주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습니다.

출처 : 성인 애착유형과 불면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