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면/기타수면장애

혈액투석환자의 불면증에 대해서

아미나우 2022. 5. 17. 05:42

신장의 기능이 영구적으로 망가지면 혈액투석을 받아야 하는데 이 때 이런 환자들에게도 불면증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런 분들의 불면증은 어떻게 치료해야 되는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연구의 필요성

Photo by Stacey Gabrielle Koenitz Rozells on Unsplash

만성적인 신부전증은 만성질환으로 알려진 것들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질환으로서 신장손상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면서 점진적인 파괴로 인해서 신장기능이 많은 비율로 망가진 상태를 말하며 일반적으로 알려진 치료요법으로는 치료가 불가능한 경우 혈액내의 이물질을 거르고 생명을 유지하기 위하여 투석요법이나 신장이식 수술이 꼭 필요한데 한국의 혈액투석환자 수는 최근 15년 간 꾸준히 증가되어 2010년 말을 기준으로 전국 17568명으로 추산되고 있는데 이는 신장을 대체 요법을 통해서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의 약 52퍼센트를 차지하고 있으며 말기 신부전증으로 새로운 대체 요법이 필요한 환자들의 발생률은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혈액투석 환자의 경우 2000년에 비해 10퍼센트가 증가하였는데 수면장애는 만성적인 신부전증을 가지고 있는 환자의 50에서 80퍼센트까지 나타나는 가장 흔한 증상 중의 하나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이로 인해 수면장애가 오고 잠을 자기 위해서 다양한 약물을 과다복용 등 치료 뿐만 아니라일상생활에 심각한 영향을 끼치고 이로 인해 건강을 해치게 되는데 특히 투석환자의 경우 환자가 낫고자 하는 의지까지 감소시킴으로써 사망률을 증가시키지만 혈액투석을 환자들이 가지고 있는 수면장애에 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지 않았기 때문에 연구자는 혈액투석 환자의 수면에 연관된 상황해결을 위하여 혈액 투석 환자들이 가지고 있는 수면 실태를 파악하여 원인을 분석해 봄으로서 혈액투석환자의 수면장애를 도울 수 있도록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혈액투석 환자의 수면실태

이번에 실시한 연구에서는 혈액투석 환자의 취침시각의 중앙값이 22시로 나타났는데 이는 최 소현의 연구에서 일반 성인의 취침시각이 22시에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 는 것과 일치하며 본 연구에서 기상시각에서는 6시가 34퍼센트로 가장 많았는데 이 러한 결과는 김신미 등의 연구에서 일반성인들의 기상시각이 4에서 8시 사이가 89퍼센트라는 보고와 비슷하며 또한 잠드는데 걸리는 시간은 평균 1시간이었는데 이는 오길향의 연구에서 입원환자의 잠드는데 걸린 시간 30분 이내가 65퍼센트라는 연구 결과와 차이가 있으며 또한 밤에 자다 깨는 횟수는 평균 4회로 나 타났는데 이 결과는 김미영 등의 연구에서 일반 성인이 평균 2회 깨는 것 과는 차이가 있는데 총 수면시간은 평균 6시간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오길향의 연구에서 입원 전 평균 7시간 10분을 수면하는 결과와는 차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혈액투석 환자가 입원환자보다 잠드는데 걸리는 시간이 더 길고 일반 성인 보다 각성 횟수가 많고 총수면 시간이 짧아 수면장애가 많음을 알 수 있었는데 또 한 수면량이 신체의 평형상태 유지에 필요한 하루 평균 7시간에서 8시간보다 절대적으로 부족하게 나타난 것을 확인했고 혈액투석 환자의 수면장애가 일반적 특성과 차이를 나타낸 특성으로는 연령 배 우자 유무 우울제 복용 유무 수면제 복용 유무 음주정도 흡연정도로 나타났고 혈액투석 환자의 수면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금주와 금연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 며 우울제 및 수면제 복용을 줄임과 동시에 이완요법 및 대체요법 등을 시행하여 혈액투석 환자의 수면을 도와주어야 할 것이다.

혈액투석 환자의 수면장애에 미치는 변인

이번에 진행한 연구에서 수면장애와 우울증은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 결과는 중년 여성을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에서도 우울장애가 수면장애의 중요한 변수로 나타났고 또한 다른 여성의 수면장애와 우울에 관한 연구에서도 수면장애가 있는 경우 우울 정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불면증을 호소하는 경우 더 높게 나타났다고 보고하였으며 다른 분의 연구에서도 심리적 요인 중 우울이 심할수록 수면장애가 심하다고 하였는데 이러한 결과는 우울장애의 증상은 수면의 시작과 그것을 유지하는데 영향을 주어 수면유지를 어렵게 하고 자주 깨게 하기 때문이라고 보고하였고 윤민준과 한주여의 연구에서도 혈액을 투석하는 환자가 우울감이 심할수록 불면증이 심하다고 보고한 것과 일치한 것으로 확인되었고 이로 인해 간호사는 혈액투석 환자의 우울감을 중재하기 위한 서포트적인 간호를 제공하여 환자들이 그들의 감정을 솔직하게 표현하도록 하며 무의식에 잠재된 문제의 해결을 도와야 할 것이며 현재 우울에 대한 치료방법으로는 접촉과 마사지 놀이와 소리내어 웃기 운동 유머요법 회상법이나 생의 회고 등이 이용되고 있으며 우울이 심한 혈액투석 환자들에 게 이러한 중재들을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이 개발되어야하며 중재의 효과를 검정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고 혈액투석을 하는 환자들이 가지는 수면장애에 미치는 원인은 다양한 것이 있지만 본 연구 결과에 서 우울감이 수면장애를 일으키는 가장 중요한 변수로 나타났으므로 혈액투석 환자에게 우울을 감소시킬 수 있는 치료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예정이다.

결론

혈액투석을 실시하는 환자의 수면상태를 파악하고 수면장애의 변수를 확인해서 수면장애를 도울 수 있는 지원개발을 모색하기 위한 조사연구이며 연구에 참여하는 사람은 경기도에 있는 5개 종합병원과 3개 혈액투석을 전문으로 하는 내과에서 진단을 받고 5개월 이상 정기적으로 주 1회에서 3회의 혈액투석을 받고 있는 20세 이상 남녀 환자 200명을 대상으로 1주일 간 수면실태 조사를 하여 평균 수면시간이 5시간 이하이거나 평균 각성횟수가 2회 이상인 대상자 151명으로 하였으며 연구도구는 수면실태를 조사하기 위해 민백기가 사용한 수면일지를 사용하였고 수면 장애는 오진스 송미정 및 김신서가 개발한 주관적 수면장애 측정도구를 사용 하였으며 우울은 벡의 우울 측정도구를 사용 하였고 생리적 지표는 최근 3일 이내 측정한 검사로 피로도를 검사하였고 지각 한 건강 식욕 피로 정도는 0점에서 10점까지 점수척도로 측정하였으며 일상생활 기능은 카츠인덱스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본 연구의 자료 수집 기간은 2003년 1월 1일에서 3월 15일까지이며 수집된 자료는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산통계 처리하였으며 분석방법은 빈도 분 석 일원분산분석 피어슨 상관분석 다중회귀 분석이었고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다음과 같이 확인하고자 하는데 국내에서는 아직 혈액투석 환자의 수면장애에 대한 연구가 많이 모자라기 때문에 대상자를 확대하여 추후 연구를 해야하며 혈액을 투석하는 환자의 수면장애를 감소시키기 위해 우울 감소와 피로 감소를 위한 간호 서포트 프로그램 개발을 제안한다.

이번에는 혈액을 투석하는 분들의 불면증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기본적으로 생활배턴이 불규칙한 경우도 있어 생활습관이나 건강을 챙기는데 있어서 매우 조심해야 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또한 불면증 극복에 있어서는 규칙적인 생활습관을 가져가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출처 : 혈액투석환자의 수면장애 변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