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수면/불면증

방어유형과 불면증

아미나우 2022. 5. 11. 18:25

불면증은 삶을 살아가면서 겪을 수 있는 매우 흔한 질환으로 그 현상을 조기에 발견하고 빨리 치료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데 이를 위해서는 정말한 검사와 본인의 수면에 대해서 잘 알아야 하는데요 이럴 때는 본인의 방어유형을 아는 것도 좋을 수 있습니다.

불면증과 방어유형

Photo by christopher lemercier on Unsplash

불면은 흔한 증상이며 오하욘 등의 한 역학 연구에 따르면 불면 증상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약 12퍼센트 였으며 최근 보고에 의하면 디에스엠 파이브에 따른 불면증의 유병률은 약 22퍼센트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불면증과 우울 증상은 서로 구별되지만 흔히 함께 동반되며 서로 연관이 있고 하며 일차성 불면증이 있는 경우 후에 주요우울장애로 이어질 수 있고 불면 증상은 주요우울장애를 치료한 뒤에도 가장 흔히 남아있는 잔류증상으로 알려져 있으며 불면 증상과 우울 증상 모두 개인의 심리적인 특성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인격 성향이 일차성 불면증을 유발하거나 유지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으며 내향성과 같은 인격 성향이 있는 사람의 경우 쉽게 우울증에 걸릴 수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심리적인 특성은 우울 증상의 발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며 최근의 한 보고에 따르면 일차성 불면증과 주요우울장애의 병력이 있으면서 불면 증상을 보이는 환자에서기질 및 성격 평가 척도를 시행했을 때 두 군 모두에서 위험 회피가 높고 자기중심성이 낮은 것으 로 나타났으며 일차성 불면증 환자들과 주요우 울장애 병력을 가진 불면증 환자들의 기질 및 성격 특성은 실제 임상 상황에서 그들이 사용하는 방어기제나 그로 인한 행동들에서 간접적으로 드러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지며 이제까지 불면증을 가진 사람들이 어떤 방어를 많이 사용 하는지 보고한 연구는 없었다. 우울증의 경우, 주요우울장애 환자들이 정상인에 비해 성숙한 방어기제를 덜 사용하는 경 향이 보고된 바 있고 본 연구에서는 불 면증을 가진 사람들의 방어유형을 조사하고 이들 중 주요우 울장애의 병력이 있는 사람과 없는 사람들 사이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했고 여기서 불면증의 정의를 내리면 대상자에게 지난 한 달간 불면증의 빈도에 대해 질문하였 다. 잠들기 어려운 경우 잠들었다가 자주 깨는 경우 너무 일 찍 깨서 다시 잠들지 못 하는 경우를 각각 초기 불면증 중기 불면증후기 불면증으로 정의하였으며 지난 한 달간 초 기 중기 후기 불면증 중 단 하나라도 주 3회 이상 겪는 경우 불면증이 있다고 진단하였으며 불면증이 있는 대상군은 국제수면분류에서 주요우울장애의 병력이 있는 군과 주요우 울장애의 병력이 없는 일차성불면증 군으로 나누었다.

연구의 대상 및 방법

연구대상 모집에 대해서는 인천 지역의 한 아파트를 대상으로 광고를 통해 정상 대조군을 모집하였으며 불면증 환자 군은 한 대학병원의 정신건강 의학과 외래에서 모집하는 것으로 연구를 시작하였고 모든 대상군에게 정신과적 진단평가를 위한 구조화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불면증이나 주요우울장애 외의 제 1축 정신장애의 병력이 발견되는 경우 연구 대상에 포함하지 않는방식으로 하였기 때문에 불면증상을 일으킬 수 있는 수면장애나 심각한 내외과적 질 환의 병력이 있는 경우 연구 대상에서 배제하고 주요우울 장애의 병력이 있으나 불면증상이 없는 경우도 역시 연구 대 상에서 배제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최종 분석에는 총 181명의 설문 결과를 사용하였으며 이 중 정상대조군이 138명 불면증 군이 43명 이며 모든 참여자에게 동의서를 취득하였으며 연구 과정 은 가천의과학대학교 길병원 기관심의위원회의 심의를 통과 하였고 방어 기제 평가에 대해서 알아보면 대상군의 방어 기제를 평가하기 위해 한국형 방어유형질 문지를 사용하였고 이 방법은 방어기제에 대한 65개의 설문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각 설문에 대해 자신의 생각이나 행동과 얼마나 일치하는지를 묻도록 되어있고 설문은 전혀 일치하지 않거나 상당히 일치하지 않거나 조금 일치하지 않거나 중간이거나 조금 일치하거나 상당히 일치하거나 매우 일치한다의 7점 척도로 직접 답변하게 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고 이 설문지는 행동화 투사 분리 공상 수동공격 소비 유머 전능 승화 부정 억제 반동형성 철수 취소 체념 격리의 16개 항목의 방어기제에 대해 평가하게 되어 있고 이 방어기제들은 미성숙 적응적 자기억제적 및 갈등회피적 유형의 네 가지 방어유형으로 나뉘고 방어유형에 따라 자존감 스트레스 대처 불안 및 심리적 증상을 경험하는 정도에 있어서 차이가 날 수 있다.

결과 및 고찰

전체 연구 대상군의 특성에 대해서는 연구에 참가한 181명의 평균연령은 40대가 많았고 이 중 75명이 남자 106명이 여자였다. 남자가 여자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행동화를 보였고 소비 공상 취소 방어와 불면를 보였으며 여자가 남자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승화를 보였고연령이 많을수록 높은 부정과 낮은 공상과 수동공격을 보인 것을 확인 했으며 불면증 유무에 따른 방어기제 비교에서는 불면증 군과 정상 대조군의 차이를 따로 표기하였고 양 군 사이에 연령과 성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불면증 군은 정상 대조군에 비하여 행동화 소비 공상 체념 억제 투사 분리 취소 철수 격리의 방어기제를 더 많이 사용하였으며 전능과 유머는 덜 사용하였고 부정 반동형성 수동공격 승화의 경우 양 군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정상대조군 일차성 불면증 주요우울증에 의한 불면증 간의 방어기제 비교에서는 정상대조군 일차성 불면증 주요우울증에 의한 불면증 간의 방어기제 차이를 표2에 표기하였고 연령과 성별을 통제하였을 때 행동화 소비 공상 체념억제 투사 분리 취소 철수 전능 유머 격리 이상 12가지 항목에서 세 군간 설문지 점수의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 하였고 불면증을 경험하고 있는 43명 중 일차성 불면증 환자들의 경우 정상 대조군에 비해 취소와 철수의 방어기제를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요우울장애의 병력이 있는 불면증 환자들의 경우에는 행동화 소비 공상 투사 분리 체념 격리 억제 철수의 방어기제는 더 많이 유머와 전능은 더 적게 사용하고 있었고 불면증 환자 중 일차성 불면증 환자들은 주요우울장애의 병력이 있는 사람들에 비해 체념과 철수는 더 적게 유머는 더 많이 사용하고 있었으나 이 중 철수 만이 일차성 불면증과 주요우울장애 병력이 있는 불면증 환자 모두에서 정상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더 많이 사용하고 있는 방어기제였고 취소의 경우 일차성 불면증 환자들에서만 정상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더 많이 사용하고 있었다.

이번에는 방어유형과 불면증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내가 반동형성인지 수동공격형인지 승화형인지 등을 잘 알아보는 것도 불면증을 극복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서 수면의 질이 향상될 수 있기 때문에 그렇게 된다면 주간의 각성량이 상승하게 되어서 활동량도 증가하고 만족스러운 일상생활을 보낼 수 있어 조기에 나의 방어형상을 살펴보고 불면증을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출처 : 방어유형과 불면증

'수면 > 불면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면증의 생리학적 모델  (0) 2022.05.12
불면증의 디지털 치료제의 임상적용  (0) 2022.05.12
마음챙김명상과 불면증  (0) 2022.05.11
수면산업과 불면증  (0) 2022.05.10
일차성 불면증의 관리  (0) 2022.05.10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